피부 과학에 입문하려는 이들에게, ‘피부는 우리 몸의 가장 큰 장기’라는 사실은 익히 알려진 사실입니다. 우리의 피부는 매일 수많은 외부 환경의 도전에 맞서 싸우며, 그 과정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하고 손상되며 변화합니다. 이런 변화를 완화하고, 때로는 되돌리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미용 시술을 선택합니다. 그 중에서도 레이저 시술은 피부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레이저 시술 후, 많은 사람들이 피부가 예상보다 빨리 회복되지 않는다는 점에 대해 고민하게 됩니다. 이는 왜 그럴까요? 그 이유를 찾아보기 위해, 먼저 우리 피부의 구조와 레이저 시술이 피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레이저 후, 피부는 왜 회복되지 않는가

레이저 시술 후의 피부 변화
우리 피부는 대체로 두 개의 주요 층, 즉 표피와 진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레이저 시술은 이 두 층 모두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진피층에서는 레이저 에너지로 인해 염증 반응이 일어나며, 이는 피부의 자연스러운 보호 메커니즘의 일환입니다.
이러한 반응은 섬유아세포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 세포들은 피부의 탄력과 두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생성합니다. 레이저 시술로 인한 염증은 이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촉진합니다. 그 결과, 원래의 피부 구조를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과정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레이저 시술로 인한 염증이 완화되고 섬유아세포가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충분히 생성하는 데는 일정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이 기간 동안 피부는 더욱 민감해지고,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더욱 잘 받게 됩니다.
EGF의 작용 기전
이런 상황에서 EGF(상피세포 성장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GF는 세포 분열을 촉진하고 상피세포의 성장을 돕는 단백질입니다. 특히 피부 세포와 같은 상피세포에 대한 그 효능은 매우 뛰어납니다.
EGF는 세포 표면에 있는 EGF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합니다. 이 신호 전달 경로는 세포의 분열과 성장을 촉진하는 다양한 단백질을 생성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EGF는 피부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고, 피부의 회복을 가속화합니다.
그러나 EGF의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주의사항이 필요합니다. 우선, EGF가 피부에 흡수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pH 조건이 필요합니다. 또한, EGF 화장품을 사용할 때는 다른 성분과의 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몇몇 성분들은 EGF의 작용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술 후 스킨케어의 중요성
레이저 시술 후 피부의 회복을 돕기 위해 EGF 화장품의 사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이런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시술 후 피부는 더욱 민감해지고,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더욱 잘 받게 되므로, 적절한 스킨케어가 필요합니다.
시술 직후에는 피부가 더욱 민감하므로, 자극이 적고 보습 효과가 뛰어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피부의 pH 균형을 유지하고, 피부 장벽을 보호하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피부 장벽이 손상되면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더욱 잘 받게 되므로, 피부 장벽의 보호와 회복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레이저 시술 후 피부의 회복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중요한 과제입니다. 피부의 자연스러운 회복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돕는 EGF와 같은 성분의 작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레이저 시술 후 피부의 회복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는 시술 후 스킨케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적절한 스킨케어를 통해, 우리는 레이저 시술 후 피부의 회복을 가속화하고, 피부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레이저 시술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고,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연관컨텐츠 👉🏻 피부 시술 전 필수 체크! 회복력 약한 피부 자가진단법
참고 자료
- Thiboutot, D., & Del Rosso, J. Q. (2013). Acne vulgaris and the epidermal barrier: Is acne vulgaris associated with inherent epidermal abnormalities that cause impairment of barrier functions? Do any topical acne therapies alter the structural and/or functional integrity of the epidermal barrier?. Journal of clinical and aesthetic dermatology, 6(2), 18.
- Fabbrocini, G., De Vita, V., Pastore, F., Panariello, L., Fardella, N., Sepulveres, R., … & Monfrecola, G. Time of onset of non‐melanoma skin cancer in organ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4(4), 424-429.
- Kligman, L. H., & Kligman, A. M. (1981). The nature of photoaging: its prevention and repair. Photodermatology, 3(4), 215-227.